::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ol.17 No.3 | (2017) pp.235~241

디지털시대 강제해독에 따른 자기부죄 거부 권리에 관한 미국과 한국의 제도 비교 연구

Ook Lee

(정회원,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Myung Keun Jee

(정회원,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Dong Han Lee

(정회원,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디지털 시대의 발현과 함께, 암호화는 생활의 한 부분이 되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암호화 프로그램을 취득하여 제3자로부터 그들의 정보를 보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암호화 프로그램의 확산으로 말미암아, 범죄자들조차도 범죄증거를 암호화하여 정부는 범죄 수사에 큰 난항을 격고 있다. 이에 따라서 여러 국가에서는 암호화된 범죄 증거들을 강제해독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여기서 헌법상 자기부죄거부라는 기본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반부에 이와 관련된 미국 헌법 및 미국 대법원의 판례를 분석하여 주요 기조를 제시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대한민국의 헌법과 형사소송법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증거의 강제해독 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공공의 안전과 복리를 위하여 법적 제도 측면에서의 강제해독의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the coming of the digital era, encryption has become common in everyday life. Almost anyone can easily acquire encryption software and use it to prevent unwanted third parties from accessing one’s private information. However, the spread of encryption has also seriously hindered law enforcement during the investigation of cybercrimes, which hides incriminating digital evidence in encrypted hard drives and files.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attempted to compel criminals to decrypt encrypted evidence and it has been inevitable to examin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s basic right on the side of constitu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ast court decisions on the issue of compelled decryption in the US and whether the Government can compel a defendant to disclose his password in Korean legal system on the constitutional sid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approach to create a legal procedure to make it a crime for a suspect or defendant to refuse to disclose his password to law enforcement for criminal cases in Korea.
  Digital Era,Forced Unlocking,Legal System,Privilege against Self Incriminat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