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ol.16 No.6 | (2016) pp.295~303

대학적응력 검사도구 척도 개발과 양호도 검증

Soo-Yoen Kim

(정회원, 인천재능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성하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대학적응력 척도 개발 의 절차를 소개하며 검사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이 도구는 3단계의 척도 추출 과정 및 6단계의 문항 추출 과정 을 거쳐 제작하였다. 추출 결과, 학문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정서적 안정성, 진로정체성, 학업여건 안정성, 교수와의 관계, 교육서비스 만족도, 대학교육 만족도 등 8개 척도, 142개 문항 구성을 통해 대학적응력을 측정하였다. 4개 대학 1,95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도구의 양호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내적 일관성 전체 신 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65, 범위는 .742∼.937로써 신뢰도가 매우 높다. 둘째, 개별 문항의 양호도를 평가하기 위 하여 각 척도 및 하위요인별로 문항 점수와 총점 간 상관계수에 의한 문항 변별도를 구했으며, 평균은 .147∼.841이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에 따른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CFA모델의 RMSEA = .08∼.09이고, 모든 부합도지수가 기준에 양호하게 부합함으로써 각 척도에 속하는 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척도별 대학적응경향성과 중도탈락경향성 점수 차이에 기초한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학업여건 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유의수준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적응력 진단 도구는 대학생의 대학적응경향성과 중도탈락경향성을 타당하게 예측하는 도구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process for the instrument co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ales on rating college students' adaptability and to analyze the technical qualities of the tes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form students and institutions what is needed to college student's adjustment process into university and college life. The scales are tested by specialty group and statistical methods, and finally composed of 142 items, which measures 8 scales, the academic integration, the social integration into college, career identity, emotional stability, learning condition’s stability,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degree of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1,959 students' responses from 4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cales which this study developed show high concurrent evidence with the college student’s adaptability inventory for Korean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various development process, specially rapid great change of college.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s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scales. The Cronbach’s α of the subscales is . 965, from 742 to .937. The prediction mode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ropout by 7 scal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05, except learning condition’s stability. According to CFA Model, RMSEA= .08∼.09. dependence factor variance are explained by this study's CFA model.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cales which this study developed a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Korean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to predict their adaptability to college.
  Adaptability to College,Drop-out,Academic Persistence,Analysis of Technical Quality,Student Retention

Download PDF List